반응형 핸드드립5 [커피공부] 다양한 브루잉 툴/ 가압식/ 6. 버큠커피브루어(Vacuum coffee brewer) 버큠커피브루어(Vacuum coffee brewer) 초등학교 과학실에서 본듯한 이 유리기구는 대기압력차이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버큠커피브루어 이다. 하부플라스크의 뜨거운물이 상부플라스크와 결합하여 압력이 차오르면 뜨거운물은 위로 빨려올라오며 커피가 추출되는 원리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은 사이폰(siphon)인데, 본래 사이폰의 정의는 U자모양의 긴관으로 대기의 압력으로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물을 옮기는 관이다. 1840년 스코틀랜드에서 탄생하여 프랑스 부인이 개선한 기구를 일본의 고노사에서 상업화 시켰다. 사이폰의 맛의 특징은 깨끗하고 부드러운 바디감이 특징인데 그래서 여성들이 이기구의 추출법을 더욱 선호한다라고 알려져있다. 커피의 맛이 좋은만큼 주의도 많이 기울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유리재질이기.. 2022. 10. 11. [커피수업] 브루잉/ 7. 추출난류(Brew turbulence) 추출난류(Brew turbulence) 비가 내려 그 물들이 강으로 흘러들어가고 큰바다로 모든물들이 합쳐지며 모든 물들은 섞이고 하나가 된다. 커피브루잉에서도 그와 비슷한 현상을 난류(turbulence)라 하는데 단, 자연적인 힘이 들어가지 않으니 바리스타가 원하는 시점에 의도적으로 난류를 주는것을 이야기 한다. 난류를 주는 방법으로는 낙차를 높게 떨어뜨리는 방법, 스푼으로 커피를 모두 휘젓는 방법, 그리고 사용하는 드리퍼를 돌리는 방법등이 있다. 이 난류도 불과 몇년전까지는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 방법 이었으나 지금은 SCA BREWING FOUNDATION의 7가지 요소에 들어가는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렇다면 난류를 주는것만으로 추출에 얼마만큼의 차이가 있는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1.. 2022. 8. 12. [커피수업] 브루잉/ 6. 물의 온도( Water temperature) 물의 온도( Water temperature) 커피를 추출하는데 있어 물만큼 중요한 것이 있을까? 사실 모든 기구들을 배제하고 펄펄끓는물과 커피만 있어도 커피는 추출되니 말이다. 브루잉의 7가지요소에서 얘기하는 물은 그안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그자체의 온도를 이야기 하는것이다. 커피와 물이 닿는순간부터 추출이 된다고 했으니 닿는 그 온도가 중요하지 않겠는가? 이전의 교육에서는 대부분 이런식으로 이야기 했다. '전기포트에서 물이 끓으면 뚜껑을 잠깐 내려놓고 식히세요~ 김이 나가면 주전자에 물을 붓고 드리퍼와 드립서버에 물을 붓고 세번정도 왔다갔다 하세요~' 물론 경험에서 나온 훌륭한 지혜이다. 하지만 이걸 초보에게 적용하는 순간 많은 실수들이 발생할 것이다. 그래서 브루잉을 시작한다면 최소 온도계 하나쯤은 .. 2022. 7. 3. [커피수업] 브루잉/ 2. 브루잉의 7가지 기본요소 브루잉의 7가지 기본요소 맛있는 한잔의 커피를 마시기 위해 브루잉을 공부하기 시작한 당신이 처음으로 접해야 하는 개념은 '브루잉의 7가지 기본요소' 이다. 혹자는 의아할 수 도 있다. 브루잉을 배우려면 빨리 사용하는 기구나 물붓는 방법등을 먼저 배워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 말도 맞는말 이다. 하지만 한발짝 멀리 볼때 브루잉이라는 건물을 세우기 위해 가장 큰 골격은 7가지기본요소이고 그 다음 사용하는 기구들이나 푸어링 방식등은 벽돌을 쌓아올리는 과정이라 생각하면 되겠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아야 할 개념들이 무엇인지 무엇인지 알아보자! 브루잉의 7가지 기본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음시간부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 2022. 3. 28. [커피수업] 브루잉/ 1. 브루잉(Brewing)과 핸드드립(Hand-drip) 브루잉(Brewing)이란 브루잉(brewing)이라는 단어는 영단어로 미생물이나 효소로 만드는 술이나 식초를 만드는 일(출처:식품과학사전), 맥주를양조하거나 차를 끓이는 일(와인&커피용어 해설)을 가르킨다. 아직까지 한국의 커피문화에서는 브루잉이라는 단어보다 핸드드립(Hand-drip)이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한다. 사실 이 용어도 종이필터와 드리퍼를 이용해 커피를 추출(와인&커피용어해설)하는 것 을 이야기 하기에 어느단어를 쓰더라도 커피를 추출한다라는 의미는 일맥상통한다. 다만안타깝게도 핸드드립이라는 단어는 구글링 하면 찾아볼수 없다. 그 이유는 이 명칭이 정식영어가 아니라 일본에서 시작한 일본식 영어표현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커피문화를 먼저 받아들인 한국은 그러한 이유로 브루잉보다 핸드드립이 친숙하.. 2022. 3. 23. 이전 1 다음 728x90